초록(부가정보)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취업 스트레스, 진로장벽, 사회적 지지 척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Pearson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각 하위 변인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취업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들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취업 스트레스에 대해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항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지지의 개별적인 하위변인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진로장벽을 가진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들보다는 통합적인 사회적 지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