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실명제
사업실명제 대상사업 현황
연 번 | 사업명 | 선정기준 | 담당부서 |
---|---|---|---|
1 | 청소년상담복지 정책연구 | 기관 고유사업 | 상담복지연구부 |
2 | 문제영역별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활용 | 기관 고유사업 | 상담복지연구부 |
3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활성화 지원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청소년안전망지원부 |
4 | 청소년 전문상담 서비스 운영 |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 서비스 제공사업 | 상담복지연구부 |
5 | 청소년상담 종합정보 서비스체계 운영 | 기관 고유사업 | 정보화전략부 |
6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 서비스 제공사업 | 청소년상담사연수부 |
7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 국민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주요 서비스 제공사업 | 청소년상담사연수부 |
8 | 상담복지인력 역량강화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청소년폭력예방부 |
9 |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청소년폭력예방부 |
10 | 품성계발 프로그램 운영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청소년폭력예방부 |
11 | 학교폭력 예방 또래상담 사업 활성화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청소년폭력예방부 |
12 | 고객만족체계 강화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혁신성과부 |
13 | 대외위상 강화를 위한 기관홍보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혁신성과부 |
14 | 반부패·청렴 및 윤리경영 강화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감사실 |
15 | 경영 정상화 | 주요 국정 현안에 관한 사항(국정과제 포함) | 기획전략부, 경영지원부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1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상담복지연구부장 (소수연 / 051-662-3130 / ssyaho@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복지 정책연구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다변화되고 심화되는 청소년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책제안을 위한 연구보고서 발간 및 보급 ○ 추진기간 : ‘93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11백만원 ○ 주요내용 - (기획)연구방향 기획 및 문헌 리뷰 - 프로그램 시범운영 및 효과성 평가 - 연구보고서 제작 및 보급 ○ 추진경과 - ‘93년 : 「청소년 상담 정책」로 정책연구 수행시작 - ‘93년∼’21년 : 연간 1∼2종 정책연구 수행 (총 61종)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연수과정개발부장 김혜숙 - 최종 결재자 : 원장 박성수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상담복지연구부장 소수연 (적용연구 수행)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연구과제 심의위원회 (연구과제 주제 및 평가관련 심의)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다문화 청소년 개입 메뉴얼」개발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검토 및 실행계획서 작성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2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상담복지연구부장 (소수연 / 051-662-3130 / ssyaho@kyci.or.kr) |
|||||||||||||||||||||||||||
---|---|---|---|---|---|---|---|---|---|---|---|---|---|---|---|---|---|---|---|---|---|---|---|---|---|---|---|---|---|---|
사 업 명 | 문제영역별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활용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다양화·복합화 되어가는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영역별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시의적절한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추진기간 : '93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77백만원 ○ 주요내용 - 기초연구 및 상담개입 프로그램 개발·보급 - 광역 자살·자해 집중 심리클리닉 운영 - 연구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 - 연구주제 선정 수요조사 및 위원회 운영 -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청소년상담연구」발간 ○ 추진경과 - '93년 ~ '20년 : 문제영역별 상담프로그램 및 매뉴얼 개발 수행 (연간 4∼5종, 총 160종 개발) - '93년∼'22년 : 등재학술지「청소년상담연구」발간 - '21년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소년 정신건강 연구」등 2종 연구 수행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연수과정개발부장 김혜숙 - 최종 결재자 : 원장 박성수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상담복지연구부장 소수연 (프로그램 개발연구 수행)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연구과제 심의위원회 (연구과제 주제 및 평가관련 심의)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2종 실행계획서 작성 ○ 온라인 위기 청소년 개입 프로그램 교육 운영(상시) ○ 광역 자살·자해 집중 심리클리닉 수퍼바이저 역량 강화 교육 1회 운영 ○ 불안‧우울 집중 심리클리닉 17개소 선정 및 운영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3 | 담당부서 작성자 |
통합지원본부 청소년안전망지원부장 (차주환 / 051-662-3120 / cjhn@kyci.or.kr)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활성화 지원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 조기정착 및 활성화 지원 -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정보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지원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지도·지원을 통한 역량강화 도모 - 청소년동반자 수요 및 요구에 부합하는 직무연수 등 상담복지서비스 역량 강화 - 청소년전화1388 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부 친절도 평가 미흡센터 컨설팅 및 위기사례 분석을 통한 운영역량 제고 - 1388청소년지원단 이러닝 연수 및 우수사례 홍보를 통한 운영 역량 강화 ○ 추진기간 : '05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339백만원 ○ 주요내용 - 청소년사회안전망 운영 강화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역량강화 지원 -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청소년전화1388 역량강화 지원 - 1388청소년지원단 운영 지원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 운영 지원 - 청소년안전망시스템 구축 지원 - e-청소년상담체계 구축·운영 ○ 추진경과 - '06년 정부 CYS-Net 정책사업 추진 지원 - '07년 CYS-Net 위기개입 매뉴얼 전국 센터 교육 및 보급 - '08년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 (CYS-Net) 효과성 연구 - '10년「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구성및운영에관한규정」시행에 따른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지도·지원 강화 - '11년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 (CYS-Net) 발전방안 연구 - '12년 시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대상 통합컨설팅 시행 - '14년~’15년 센터평가 및 미흡센터 중심 컨설팅을 통한 센터 기능 강화 - '16년 신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컨설팅을 통한 신규센터 조기정착 지원 - '16년 CYS-Net 효과성 척도 개정 연구 - '17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평가 시행 - '18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컨설팅 시행 - '19년 청소년상담복지사업 컨설팅 시행 - '19년 청소년안전망 개편 및 선도사업지원 - '20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합평가 시행 - '20년 청소년안전망팀 선도사업 정착 지원 - '21년 청소년상담복지사업 컨설팅 시행 - '21년 청소년안전망시스템 구축 지원(1단계)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대외협력부장 주영아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배근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통합지원본부장 양미진, 청소년안전망지원부장 차주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활성화 지원)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박윤주 (청소년안전망 운영 및 관리 총괄)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상담 및 지원서비스 제공)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고위기청소년 통합사례관리 및 지원)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 운영·지원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 사업설명회(1회) - 고위기청소년 맞춤형프로그램 사업설명회(1회) - 지자체 청소년안전망팀 컨설팅(6개소) ○ 청소년안전망시스템 구축 지원 - 청소년안전망시스템 구축 관련 업무 지원(여가부, 수시) - 시스템 구축 관련 관계자회의(4회, 32명) ○ e-청소년상담체계 구축·운영 - 온라인상담 플랫폼 구축 관련 개발원 중장기 ISP 기반 마련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지도․지원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계자회의(3회)  - 우수 상담수기 공모전 실시(1회)  - 긴급대응체계 운영회의(1회)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웹진 발행(1회)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운영 지원  - 청소년동반자 직무연수(1회, 80명)  - 청소년동반자 사업설명회(1회) ○청소년전화1388 역량강화 지원  - 청소년전화1388 통합교육(1회, 27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4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상담복지연구부장 (소수연 / 051-662-3130 / ssyaho@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 전문상담 서비스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체계적·전문적 상담서비스의 모형개발 및 보급 - 위기청소년 및 학부모에 대한 전문상담서비스 제공 ○ 추진기간 : ‘93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60백만원 ○ 주요내용 - 전문클리닉 운영모형 개발 및 보급 - 전문상담 서비스 제공 (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 표준화된 상담운영시스템 개발 및 보급 - 청소년 현안 대응 매뉴얼 개발 - 상담자 역량강화교육 운영 ○ 추진경과 - ‘93년~’22년 : 전문상담서비스 (대면·비대면) 제공 - ‘95년 : 상담사례집 발간 - ‘05년 : 청소년전화 1388 시범운영 - ‘12년 : 특수상담사례발표회 운영 - ‘14년∼‘22년 : 위기관리위원회 운영 - ‘15년∼‘22년 : 청소년상담복지에 관한 윤리적·법적 대응매뉴얼 보급 - ‘16년∼‘22년 : 전문클리닉 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개인상담부장 오익수, 집단상담부장 강진령 - 최종 결재자 : 원장 박성수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상담복지연구부장 소수연 (청소년 전문상담 운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위기관리위원회 (위기대응 관련 자문)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대면·비대면 (화상, 전화 등) 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등 전문상담 서비스 상시 운영 ○ 고위기 청소년 전문클리닉 서비스 상시 운영 ○ 연간 공개상담사례발표회 및 상담 역량강화교육 계획 작성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5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정보화전략부장 (김기영/051-662-3140 / kimgy1494@kyci.or.kr)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 종합정보 서비스체계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보체계 수립 - 축적된 대규모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정부기관,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에 맞춤형 정책 정보서비스 제공 - 다양한 통계분석, 타기관 연계, 지식기반 운영을 통하여 고효율, 저비용의 운영체계 구축 도모 ○ 추진기간 : ’99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606백만원 ○ 주요내용 - 지속적인 CYS-Net 정보체계 개선 - 타 시스템 연관 통계시스템 추가 개발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홈페이지 서비스 활성화 - 상담관련 자료 및 지식서비스 강화 - 전산시스템 운영 관리 및 전산 지원 - 자료실관리 및 운영 - 기타 기관 전산 및 자료 지원 업무 수행 ○ 추진경과 - ’99년~’03년 : 홈페이지시스템 및 전자결재시스템 구축 - ’03년~’05년 : CYS-Net 종합정보망 전국 보급 - ’04년~’07년 : 기관 내부행정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 ’07년~’09년 : CYS-Net 종합정보망 통계정보시스템 구축 운영 및 본원 ERP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09년~’10년 : Daum/Naver 포털사이트 연계사업 추진 - ’11년~’20년 : 기관 전산시스템 구축 및 운영 - ‘21년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중장기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정보협력부장 황순길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혜성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경영기획본부장 노성덕, 정보화전략부장 김기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사무관 박윤주(청소년안전망 운영 및 관리 총괄) -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과 과장 김영옥, 사무관 박수미(학교밖청소년 지원사업 관리 총괄) - 전국 청소년상담상담복지센터,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위기청소년 및 학교밖청소년 현장지원 및 실적 관리)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홈페이지 데이터 수정 보완 ○ 직원 PC 점검 및 악성코드 감염 방지 관리 ○ CYS-Net 종합정보망 수정 보완 ○ 꿈드림 정보망 수정 보완 ○ 청소년복지시설 행정정보시스템 수정 보완 ○ 청소년상담사 관리시스템 수정 보완 ○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시스템 수정 보완 ○ 통합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하드웨어 인프라 유지관리 ○ 홈페이지 웹사이트 품질관리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중장기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6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상담사연수부장 (김미정/051-662-3080 / shlh30@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청소년기본법」제20조, 제22조 및 제23조 등에 따라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시행 - 청소년의 건강·성장 지원을 위한 청소년상담복지 전문인력 양성 -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활성화로 청소년정책의 전문수행인력 확보 ○ 추진기간 : ’03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1,915백만원 ○ 주요내용 - 청소년상담사 자격시험 합격자 대상으로 자격연수 (100시간) 시행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과정 기획·운영 및 평가 -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발급 및 관리 - 청소년상담사 자격검정위원회 운영 - 청소년상담사 통합정보시스템 관리 및 보완 - 청소년상담사 취업 지원 사업 운영 ○ 추진경과 - ’03년 : 제1회 청소년상담사 자격검정 및 연수 시행 - ’11년 : 필기시험「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이관 - ’14년 : 면접시험, 서류심사「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이관 - ’15년 : 제13회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시행 - ‘16년 : 청소년상담사 인력 현황 조사 시행 - ‘17년 :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개선 연구 시행 - ‘19년 : 청소년상담사 취업 지원 사업 시행 - ‘20년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실시간 화상 교육 도입 - ‘21년 :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개선 연구 시행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자격연수부장 박경애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혜성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청소년상담사연수부장 김미정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및 자격관리)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관리 총괄) - 한국산업인력공단 전문자격국장 조용대, 전문자격운영부장 조상현 (청소년상담사 자격시험)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2회 실시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수료자 현황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7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상담사연수부장 (김미정/051-662-3080 / shlh30@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청소년기본법」제24조의2에 따라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시행 -청소년 위기문제 변화와 심화로 청소년상담사의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응 능력 향상 -청소년상담사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전문성 확대 ○ 추진기간 : ’07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109백만원 ○ 주요내용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과정 기획·개발 및 운영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및 운영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정보시스템 관리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의무대상 기관 및 대상자 관리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과정 효과성 평가 실시 - 사회적 약자 대상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교육비 면제 서비스 운영 ○ 추진경과 - ’07년 : 제1회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시행 - ’13년 : 보수교육 의무화 시행(청소년기본법) - ’15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효과성 평가도구 개발 연구 시행 - ’16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효과성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 시행, 사회적 약자 대상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교육비 면제서비스 시행 - ’17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유용성 평가 전수 실시 - ‘18년 : 스마트 이러닝 시스템 개발 - ’19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유용성 평가도구 개선 연구 시행 - ‘20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전문가 과정 개설 - ‘21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서포터즈 창단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자격연수부장 권해수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배근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청소년상담사연수부장 김미정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운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실적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8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 051-662-3090 / hycounsel@kyci.or.kr) |
---|---|---|---|
사 업 명 | 상담복지인력 역량강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국가직무능력(NCS) 기반의 청소년상담복지인력 대상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 - 청소년상담복지인력 대상 이러닝 직무연수 실시 - 청소년상담복지 종사자 지역별, 직급별 맞춤형 전문성 강화를 통한 청소년의 건강·성장 지원 ○ 추진기간 : ’06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108백만원 ○ 주요내용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직원 대상 직무연수 실시 - 청소년상담복지인력 대상 이러닝 직무연수 실시 - 이러닝 교육 콘텐츠 유지·보수 및 신규 개발 ○ 추진경과 - ’06년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직원 대상 직무연수 최초 실시 - ’07년 : 교육연수정보시스템 개발 - ’09년 : 연차별 보수교육 최초 실시 - ’10년 : 이러닝 연수 시스템 구축 및 신규 이러닝 콘텐츠 10종 개발 - ’11년 : 집합 및 이러닝 연수 운영 매뉴얼 개발 - ’12년 : 청소년상담복지센터별 맞춤형 이러닝 연수 실시 - ’13년 : 학교, 청소년쉼터 등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 대상이러닝 연수 확대 실시 - ’15년 : 신규, 심화 맞춤형 교육 등 체계적 직무연수 운영 - ‘16년 : NCS 기반 직급별 직무연수 실시 - ‘19년 : 팀장 소진방지 직무연수, 대국민 이러닝 교육 콘텐츠 개발 - ’20년 : 직무연수 운영매뉴얼 및 직무능력 관리시스템 개발 - ‘21년 : 신규직원 직무연수 표준강의안 제작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연수부장 오혜영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배근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종사자 직무연수 운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주무관 고은정(정책총괄)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집합 직무연수 : 445명 ○ 이러닝 직무연수 : 9,047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09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 051-662-3090 / hycounsel@kyci.or.kr) |
---|---|---|---|
사 업 명 |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변화하는 청소년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부모교육 확대를 통해 1차적 사회안전망인 가정의 기능 회복 및 강화 ○ 추진기간 : '93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10백만원 ○ 주요내용 - 이음부모교육 전문지도자 및 지도자 양성 교육 - 이음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추진경과 - '93년 :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04년 :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부모> 개발 - '06년 : <따로 그리고 함께하는 부모> 개발 - '07년 : <예비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개발 - '08년 : <다문화 가정 부모교육> 개발 - '12년 : <학교폭력 가·피해 부모교육> 개발 - '14년 : 상설부모교육 및 부모 대특강 실시 - '18년 : 이음부모교육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부모> 개정 - ’20년 : 이음부모교육 <자녀와 함께 성장하는 부모> E-book 책자 제작 - ’21년 :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연수과정개발부장 김혜숙 - 최종 결재자 : 원장 박성수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부모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보급)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서기관 박시영 (정책총괄)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부모교육 지도자 프로그램 운영)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이음부모교육 지도자 : 33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10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 051-662-3090 / hycounsel@kyci.or.kr) |
---|---|---|---|
사 업 명 | 품성계발 프로그램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인성교육진흥법 시행으로 학교 교육 전반의 변화에 따라, 청소년 인성함양 증진 프로그램 보급을 통해 청소년 위기 예방 및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질 함양 ○ 추진기간 : '00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7백만원 ○ 주요내용 - 올틴 품성계발 전문지도자 및 지도자 양성 교육 - 올틴 품성계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인성교육 전문지도자 및 지도자 양성교육 -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추진경과 - '00년 : <멋진우리> 개발 - '02년 : <자신을 다스리는 마음> 개발 - '08년 : <알콩달콩 마음나눔> 개발 - '14년 : <다함께 쑥쑥> 개발 - '17년 :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 <올바름> 개발 - '19년 :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 <올바름> 교육부 인증 - '20년 : <청소년 언어폭력 예방프로그램> 개발 - '21년 : <청소년 스트레스 관리 특강 프로그램>개발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연수부장 김진희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혜성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품성계발 프로그램 운영 및 개발·보급)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품성계발 프로그램 운영)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인성교육 지도자 : 55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11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 051-662-3090 / hycounsel@kyci.or.kr) |
---|---|---|---|
사 업 명 | 학교폭력 예방 또래상담 사업 활성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94년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12년 범정부「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의 시행으로 여성가족부·교육부 협업 추진 - 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 지도교사 양성을 통한 건전한 학교 문화 조성 ○ 추진기간 : '12년 ~ '22년 ○ '22년 예산 : 410백만원 ○ 주요내용 - 또래상담 지도교사 양성 - 또래상담자 양성 및 활동지원 -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전문지도자 양성 - 사업 운영 기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 컨설팅 - 또래상담 우수사례 발굴 및 시상 ○ 추진경과 - '94년 :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3종 개발 - '97년 :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2종 개발 - '99년 : 또래상담 운영절차, 방법 및 내용에 대한 지침 마련 - '00년 : 초·중·고 학교급별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 - '12년 : 학교폭력근절 대책의 일환으로 교육부, 여성가족부 공동으로 또래상담 사업 추진, 전국 초·중·고등학교 대상 확대 운영 - '13년 : 초·중·고 또래상담 중점학교 운영을 통한 또래상담 운영학교 지침 개발, 또래상담 심화프로그램 개발 - '14년 :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15년 : 또래상담사업 고유사업 예산(일반회계) 확보를 통한 안정적 사업 확대 기반 마련 - '16년 : 탈북청소년 대상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17년 : 또래상담 지도교사 직무연수 제도화 - '18년 : 후기청소년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19년 : 초등학교 중심 또래상담 프로그램 보급 확대 - '20년 : 사이버폭력 예방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21년 : 온라인 또래상담 플랫폼 고도화 및 시범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직무연수팀장 조은경 - 최종 결재자 : 원장 구본용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상담역량개발본부장 서미,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태성 (또래상담 사업 운영·관리) -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과 과장 김영옥, 사무관 박수미, 주무관 오주윤(정책총괄) - 교육부 학교생활문화과 과장 유상범, 연구관 한유화, 연구사 김주숙(사업지원)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 지도교사 양성)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또래상담 지도교사 : 312명 ○ 또래상담 전문지도자 : 0명(5월 이후 진행 예정) ○ 또래상담자 수 : 11,648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12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혁신성과부장 (정지희/051-662-3050/oloton@kyci.or.kr) |
---|---|---|---|
사 업 명 | 고객만족체계 강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공공기관으로서의 수준 높은 고객만족과 책임경영 실현을 위한 선도적 경영체계 구축 - 고객접점 서비스 고도화 및 현장중심적 고객만족경영을 통한 대국민 고객서비스 향상 ○ 추진기간 : '06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74.6백만원 ○ 주요내용 - 공공기관으로서의 고객만족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고객관리 - 지속적인 고객서비스 품질 개선 및 관리 - 고객만족 중심의 경영관리 고도화를 위한 고객만족도 조사운영 -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완수를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추진 ○ 추진경과 - '06년 : 기획재정부 주관 고객만족도 (PCSI) 조사 실시 - '08년 : 청소년고객자문단 운영 및 사회공헌활동 실시 - '09년 : 고객만족 제고를 위한 VOC 통합관리체계 구축 - '12년 : 고객만족도 (PCSI) 평가등급 '양호' 진입 - '13년 : 고객만족 및 사회공헌 실적 평가체계 고도화 - '15년 : 고객만족 개선과제 이행 강화, 지방 이전에 따른 부산지역 내 신규 사회공헌활동 발굴 추진 - '16년 : 고객만족도 조사 대응 강화, 본원 전문성 활용한 재능기부 사회공헌 활성화 - '17년 : 고객만족도 'A등급' 획득, 사회공헌 홍보 활성화 - '18년 : 청소년고객자문단 확대 운영, 사회공헌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19년 : 고객만족도 ‘양호’수준 획득, 청소년자문단 활성화 - '20년 : 고객중심 사업개선을 위한 고객자문활동 강화 - '21년 : 고객만족도 지속 향상을 위한 CS관리단 및 청소년자문단 운영 강화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대외협력부장 주영아 - 최종 결재자 : 원장 이혜성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경영기획본부장 노성덕, 혁신성과부장 정지희 (고객만족 사업 운영) - 기획재정부 공공혁신과 과장 오정윤, 사무관 임강빈 (고객만족도 조사 총괄)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고객만족도 조사 설계) - 한국생산성본부 (고객만족도 조사 시행·분석)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기획재정부 주관 고객만족도 조사 `21년 85.9점 획득 ○ 내·외부 고객의견 수렴 강화 추진 - (내부) 혁신제안제도 운영 : 기관운영 관련 혁신제안 23건 처리 완료(`21년 17건, `22년 6건) - (외부) 고객의소리(VOC) 운영 및 관리 :VOC 통합관리시스템에 접수된 고객문의에 대해 48시간 이내 답변 제공 (`21년 1,219건 처리 완료, 평균답변 6.9시간) ○ 사회공헌활동 추진 - 지역 내 위기청소년들을 위한 벽화그리기 사업 계획 - 지역 동서격차 해소를 위한 코로나 선물세트 전달 - 코로나19로 인한 혈액수급 부족으로 사랑의 헌혈 실시 - 개발도상국 아이들을 위한 교육 인지용 팝업북 제작 - 지역 환경 개선을 위한 시민불편운동본부 참여 : 환경 영상 공모전, 환경음악회 등 계획 - (디지털 사회공헌활동)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이기 운동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13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혁신성과부장 (정지희/051-662-3050 / oloton@kyci.or.kr) |
---|---|---|---|
사 업 명 | 대외위상 강화를 위한 기관홍보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최고의 청소년 상담복지 전문기관으로서의 대외위상 강화 - 청소년의 행복한 삶을 위해 본원에서 제공하는 사업 및 프로그램을 널리 알림으로써 국민에게 신뢰받은 기관 이미지 확립 -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형성과 조화로운 성장이라는 기관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청소년 상담복지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 홍보 ○ 추진기간 : '93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45백만원 ○ 주요내용 - 웹진 기획 및 발행 (연12회) - 미디어리스트 구축, 보도실적 관리, 기획홍보 아이템 발굴, 언론사 취재지원, 기자간담회 개최 등 언론홍보 - 브로슈어, 동영상 등 기관 홍보물 기획 및 제작 -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참가 및 홍보부스 운영 - 페이스북 등 SNS 채널 관리 및 운영 - 내부직원 홍보교육, 보도자료 작성지원 등 ○ 추진경과 - '93년 : 월간지 '청소년상담소식(계간)' 발간 - '03년 : 한국청소년상담원 10년사 발간 - '06년 : 소식지 '청소년상담소식(월간)'웹진 전환, 계간지 '유스피아' 발간 - '08년 : 한국청소년상담원 15년사 발간 - '09년 : '유스피아' 상·하반기 발행, 홍보 아웃소싱 - '11년 : 기관인지도 조사, 페이스북 개설 및 운영 - '12년 : 기관명칭 변경, CI 및 캐릭터 개발 - '13년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년사 발간 - '14년 : 홍보대사 위촉 - '15년 : 기관 홍보 브로슈어·동영상 제작, 기관 홈페이지 리뉴얼 - '16년 :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정부3.0 국민체험마당 참여, 기관 인지도 조사 실시 - '19년 : 홍보영상 제작, 리플릿 제작 - '20년 : 유튜브 라이브방송 실시, 온라인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실시 - '21년 : 대외위상 강화를 위한 온라인 광고 실시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정보협력부장 황순길 - 최종 결재자 : 원장 박성수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경영기획본부장 노성덕, 혁신성과부장 정지희 (홍보사업 운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웹진 기획 및 발행 : 3회 발행(1~3월) ○ 보도실적 관리, 미디어리스트 구축, 보도자료 작성 및 배포,기사게재 모니터링 등 언론홍보 지원 ○ 홈페이지, 페이스북 등 온라인채널 관리 및 운영 ○ 기관 홍보 기념품 제작(1월) ○ 기관 홍보 계획 수립(1~3월) ○ 홍보요원 간담회 실시(3월) ○ 온라인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참가 신청(3월) ○ 1388 통합홍보사업 국고보조금 정산 ○ 국민소통 플랫폼「유스온」개설(3월)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14 | 담당부서 작성자 |
감사실장 (이석희 / 051-662-3160 / lsh0907@kyci.or.kr) |
---|---|---|---|
사 업 명 | 반부패·청렴 및 윤리경영 강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반부패·청렴 정책 수행을 통한 엄정한 공직기강 확립 - 국민들의 성숙한 윤리기준에 부합하는 청렴 조직문화 구현 - 대내·외 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반부패·청렴 사업 추진 및 구성원 역량 강화 ○ 추진기간 : '10년 ~ '22년 (계속) ○ '22년 예산 : 19백만원 ○ 주요내용 - 공정·투명하며 합리적인 업무수행을 통한 윤리경영 추진 - 청렴시민감사관 (옴부즈만), 반부패청렴위원회 등 운영 - 내·외부 익명신고센터 개설 및 운영 - 자체 감사활동 강화 및 청렴마일리지 제도 운영 - 집합 및 사이버교육 등 윤리경영 관련교육 ○ 추진경과 - ‘10년 : 권익위 청렴도 측정 신규대상 기관 선정 - ‘10년 ~ ‘21년 : 반부패·청렴 인프라 구축·운영, 부패 취약분야 권익위 제도개선 권고사항 적극이행, 행동강령 준수 및 익명비리 신고센터 운영, 반부패·청렴문화 확산을 위한 임직원 교육 및 청렴 우수 직원 포상 등 기관 청렴도 향상노력 지속 추진 - ‘18년∼’21년 : 갑질 근절을 위한 제도 구축, 근절대책 수립 및 이행, 인권 존중 경영을 위한 제도 구축, 추진계획 수립 및 이행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행정지원팀장 이희춘 - 최종 결재자 : 원장 차정섭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감사실장 이석희 (반부패·청렴사업 운영)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조사평가과 과장 주경희, 박혜경, 주무관 연나영 (청렴도 측정)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부패방지 및 윤리문화 확산 - 22년 갑질근절 추진대책 수립 - 22년 부패방지 및 청렴교육 운영 계획 수립 - 설명절 공직기강 확립활동 추진 - 22년 1차 공직 생애주기별 맞춤형 청렴교육 - 업무포털 윤리마당에 관련 교육자료, 법령, 매뉴얼 등 수시 게시 ○ 부패유발요인 선제적 대응 - 22년 연간 감사계획 수립 - 일상감사 시행(164건 감사 / 6건 의견제시)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2-15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기획전략부장 (김규훈 / 051-662-3020 / shew0304@kyci.or.kr) 경영기획본부 경영지원부장 (전상현 / 051-662-3030 / shchun@kyci.or.kr) |
---|---|---|---|
사 업 명 | 경영 정상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공공기관 개혁의 토대인 방만경영 개선 지속 추진 요구 - 성과중심의 경영, 효율적 인력 운영을 통한 보다 고품질의 공공 서비스 제공 요구 ○ 추진기간 : '14년 ~ '22년(계속) ○ '22년 예산 : 비예산 사업 ○ 주요내용 - 교육비, 의료비 등 방만경영 정상화 체크리스트 대상항목 점검·개선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지속가능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 임금피크제도 및 NCS 기반의 채용제도 운영 -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및 개방형 계약직제 운영 등 ○ 추진경과 - '14년 : 복리후생제도 7개 개선과제 발굴·개선 및 1인당 복리후생비 27천원 절감(3.9%) - '15년 · 복리후생제도 6개 개선과제 발굴·개선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 임금피크제도 및 NCS 기반의 채용제도 설계·도입 - '16년 · 정부가이드라인을 준수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 성과연봉제 확대 및 NCS 기반의 채용제도 실시 - '17년 · 정부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지속가능 복리후생제도 운영 · 성과연봉제 후속조치 및 NCS 기반의 채용 실시 - '18년 · 정부방침에 따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 '19년 · 다면평가 등 인사혁신안 설계 - '20년 · 내·외부 환경분석을 통해 직종 및 직급체계 개편 - ‘21년 · NCS기반의 채용제도 강화 및 예비합격자제도 신규 도입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경영지원부장 전상현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권승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경영기획본부장 노성덕, 기획전략부장 김규훈, 경영지원부장 전상현 (경영정상화 추진)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장 김은형, 사무관 이민재(정책총괄) |
||
'22년 1분기까지 추진실적 |
○ 정부의 방만경영 정상화 지침을 준수한 맞춤형복지, 건강검진 등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 변경된 채용규칙을 통한 NCS기반의 블라인드 채용과 공정채용제도 강화 및 우수인재 채용 ○ 개방형직위 운영지침, 인사교류 운영 지침 등 인사관련규정 정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