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실명제
사업실명제 대상사업 현황
연 번 | 사업명 | 선정기준 | 담당부서 |
---|---|---|---|
1 | 청소년상담복지 정책연구 | 기관고유사업 | 상담복지연구부 |
2 | 문제영역별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활용 | 기관고유사업 | 상담복지연구부 |
3 | 청소년안전망 운영·지원 | 국정과제포함 | 청소년안전망데이터센터 |
4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활성화 지원 | 국정과제포함 | 상담복지센터지원부 |
5 | 청소년 전문상담 서비스 운영 | 기관고유사업 | 상담복지연구부 |
6 | 청소년상담 종합정보 서비스체계 운영 | 기관고유사업 | 정보화전략부 |
7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 기관고유사업 | 청소년상담사연수부 |
8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 기관고유사업 | 청소년상담사연수부 |
9 | 상담복지인력 역량강화 | 국정과제포함 | 상담복지센터지원부 |
10 | 학교폭력 예방 또래상담 사업 활성화 | 국정과제포함 | 청소년폭력예방부 |
11 | 청소년 희망센터 운영 | 기관고유사업 | 청소년폭력예방부 |
12 | 고객만족체계 강화 | 국정과제포함 | 기획조정부 |
13 | 대외위상 강화를 위한 기관홍보 | 국정과제포함 | 기획조정부 |
14 | 경영 효율화 | 국정과제포함 | 기획조정부, 창의인재부, 경영관리부 |
15 | 반부패·청렴 및 윤리경영 강화 | 국정과제포함 | 감사실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1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상담복지연구부장 (차주환/051-662-3130/cjhn@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복지 정책연구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다양화‧복합화 되어가는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영역별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시의적절한 상담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 추진기간 : ‘93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39백만원 ○ 주요내용 - 연구기획, 문헌리뷰 및 연구보고서 제작·보급 - 2025년 연구주제 • 경계선지능 청소년 유형별 개입 • 경계선지능 청소년 유형별 개입 • 경계선지능 청소년 유형별 개입 ○ 추진경과 - ‘93∼’23년 : 연간 1∼2종 정책연구 수행 (총 64종) - ‘24년 : 「디지털미디어 위기 청소년 유형 및 개입」매뉴얼 개발 완료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상담복지연구부장 차주환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디지털미디어 위기 청소년 유형 및 개입」매뉴얼 개발 ○「청소년 위기 스크리닝 척도」개정 ○「위기청소년 부모개입 프로그램」개발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2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상담복지연구부장 (차주환/051-662-3130/cjhn@kyci.or.kr) |
|||||||||||||||||||||||||||||||||||||||||||||||||||||||||||||
---|---|---|---|---|---|---|---|---|---|---|---|---|---|---|---|---|---|---|---|---|---|---|---|---|---|---|---|---|---|---|---|---|---|---|---|---|---|---|---|---|---|---|---|---|---|---|---|---|---|---|---|---|---|---|---|---|---|---|---|---|---|---|---|---|
사 업 명 | 문제영역별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활용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위기청소년 문제개입 매뉴얼, 이슈페이퍼 등 기관 연구성과물의 체계적 관리 및 확산 ○ 추진기간 : '93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49백만원 ○ 주요내용 - 旣 개발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및 수정‧보완 - 연구 관리시스템 개발 및 운영 - 연구주제 선정 수요조사 및 위원회 운영 -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청소년상담연구」발간 - 연구보고서 제작 및 보급 ○ 추진경과 - ’93∼’24년 : 청소년상담복지 관련 연구 수행(총 254종) - ’09∼’24년 : ‘청소년상담연구’ 한국연구재단(KCI) 등재 학술지 발간 - ’22∼’24년 : 이슈페이퍼 발간 및 푸른빛자문단 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상담복지연구부장 차주환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이슈페이퍼 발간(총 4종) - ‘청소년의 위기, 현재와 미래를 이야기하다’ - ‘사이버폭력 가해 멈추기: 현실에서 한 걸음씩 내딛기’ - ‘우리 아이가 고립·은둔 청소년’ - ‘청소년 사이버도박: 중독과 불법의 경계에서 도박을 보다’ ○ 旣 개발 프로그램(청소년회복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 KCI 등재 학술지 <청소년상담연구> 발간(2회)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3 | 담당부서 작성자 |
통합지원본부 청소년안전망데이터센터 부장 (양대희/051-662-3210/ydh0520@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안전망 운영·지원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위기청소년 발견부터 보호 종료까지 전 과정 자료와 정보를 통합적·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시스템 운영 -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청소년안전망 운영을 위한 데이터 공유 기반 조성 및 과학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관 보유 데이터 활용성 증진 ○ 추진기간 : ‘23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비예산 ○ 주요내용 - 청소년안전망시스템 운영 및 유지관리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및 운영 - 데이터 분석·활용 등 데이터 기반 행정 이행 - 데이터 활용 내부 역량 강화 - 청소년안전망시스템 사용자 교육 - 개인정보보호 및 데이터 활용 사업 활성화 ○ 추진경과 - ‘23년: 청소년안전망시스템 신규 구축 완료 및 운영 - ‘24년: 종합평가‧또래상담 등 청소년안전망시스템 기능 추가 개발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안전망데이터센터 부장 양대희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청소년안전망시스템 유지·보수 지속 운영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4 | 담당부서 작성자 |
통합지원본부 상담복지센터지원부장 (김세진/051-662-3120/soitis@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활성화 지원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 마음건강 증진을 위한 전문상담기관으로서의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기능 강화 -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통한 청소년안전망으로의 접근성 강화 노력 - 고위기청소년 적시 발굴 및 마음건강 보호체계 강화 필요 ○ 추진기간 : '05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149백만원 ○ 주요내용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 지원 - 고위기청소년 맞춤 지원사업 운영 - 청소년안전망사업 운영 지원 - 청소년상담복지사업 현장 활용 매뉴얼 개정 - 청소년안전망사업 포상 - 사업 운영 성과관리 및 현황 모니터링 ○ 추진경과 - ‘06년: 시범운영 성격의 팀으로 출발 - ‘11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평가 체계 구축 지원 - ‘15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기능 지도‧지원 강화 - ‘22년: 청소년상담복지센터 기능개선을 통한 운영모델 정립 - ‘23년: 고위기청소년 맞춤 지원사업 운영 - ’24년: 고위기청소년(자살・자해) 집중심리클리닉 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상담복지센터지원부장 김세진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위기청소년 상담 및 지원서비스 제공) |
||||||||||||||||||||||
추진실적 |
○ 고위기청소년 적시 발굴 및 마음건강 보호체계 강화를 통한 자살·자해, 우울 등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 지원 체계 고도화 ○ 공공서비스 품질 강화를 위한 청소년안전망 운영 사업 평가로 국민체감형 상담복지서비스 제고 ○ 청소년 위기수준 및 문제유형에 따른 마음건강 솔루션 제공 강화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5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상담복지연구부장 (차주환/051-662-3130/cjhn@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 전문상담 서비스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 문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체계적‧전문적 상담서비스의 모형개발 및 보급 - 위기청소년 및 학부모에 대한 전문상담서비스 제공 ○ 추진기간 : ‘93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60백만원 ○ 주요내용 - 고위기 청소년 집중 사례 개입 체계(Intensive Care) 운영 - 상담자 역량강화교육, 공개사례발표회, 소진방지 프로그램운영 - 대면‧비대면 전문상담 서비스 제공(대면‧화상‧전화‧집단상담, 심리검사) ○ 추진경과 - ’93년:전문상담서비스(대면‧비대면) 시작 - ’15년:위기관리위원회 및 전문클리닉 신규 운영 - ’20년:화상상담 체계 개발 - ’23년:청소년상담복지 관련 윤리적·법적 대응매뉴얼 개발 - ’24년:고위기청소년 집중 사례개입 체계(Intensive Care) 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상담복지연구부장 차주환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위기관리위원회(위기 대응 관련 자문)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고위기 청소년 집중 사례 개입 체계(Intensive Care) 운영 ○ 상담자 역량강화교육(2회) 및 공개사례발표회(4회), 소진관리 프로그램운영(2회) ○ 대면·비대면(화상, 전화 등) 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등 전문상담 서비스 상시 운영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6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정보화전략부장 (김기영/051-662-3140/kimgy1494@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 종합정보 서비스체계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전산 인프라 개선을 통한 업무 연속성 확보 및 안정적인 정보시스템 운영 - 지속적․연속적 정보보안 활동으로 원활한 청소년상담복지 서비스 제공 ○ 추진기간 : ’99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606백만원 ○ 주요내용 - 정보시스템 및 인프라 유지보수 및 고도화 - 정보보안 활동 및 백업시스템 운영 - 자료실 관리 및 운영 ○ 추진경과 - ’99년~’03년 : 홈페이지 및 전자결재 시스템 구축 - ’03년~’05년 : CYS-Net 종합정보망 전국 보급 - ’04년~’07년 : 행정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 - ’07년~’09년 : CYS-Net 통계정보시스템 구축 - ’09년~’10년 : Daum/Naver 포털사이트 연계사업 추진 - ’11년~’20년 : 기관 전산시스템 구축 및 운영 - ’21년~’22년 : 중장기 정보화 전략계획(ISP) 수립 - ’23년~‘24년 : 서버 가상화 및 정부24 연계서비스 제공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정보화전략부장 김기영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정보통계담당관실 | ||||||||||||||||||||||
추진실적 |
○ 정보화 업무 지침 제정으로 소프트웨어사업 과업심의위원회 구성리 ○ 국정원 정보보안 실태 평가에서 평가 등급 상향(미흡➝보통) ○ 산하기관에 대하여 자체 정보감사 확대 실시 ○ 가상화 기반 서버 도입 및 노후 정보시스템 이관 ○ 데이터 유실 방지를 위해 백업시스템 개선 및 소산 실시 ○ 여성가족부 사이버안전센터 구축 사업 참가 ○ 정부24 연동으로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발급 서비스 시작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7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상담사연수부장 (김미정/051-662-3080/shlh30@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기본법」제20조, 제22조 및 제23조 등에 따라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시행 - 청소년의 건강․성장 지원을 위한 청소년상담복지 전문인력 양성 -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활성화로 청소년정책의 전문수행 인력 확보 ○ 추진기간 : ’03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821백만원 ○ 주요내용 - 청소년상담사 자격시험 합격자 대상으로 자격연수(100시간) 시행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과정 기획․운영 및 평가 -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발급 및 관리 - 청소년상담사 자격검정위원회 운영 - 청소년상담사 통합정보시스템 관리 및 보완 ○ 추진경과 - ’03년 : 제1회 청소년상담사 자격검정 및 연수 시행 - ’11년 : 필기시험「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이관 - ’14년 : 면접시험, 서류심사「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이관 - ’15년 : 제13회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시행 - ‘16년 : 청소년상담사 인력 현황 조사 시행 - ‘17년 :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개선 연구 시행 - ‘19년 : 청소년상담사 취업 지원 사업 시행 - ‘20년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실시간 화상 교육 도입 - ‘21년 : 청소년상담사 자격제도 개선 연구 시행 - ‘22년 : 청소년상담사 표준교육과정 개발 연구 시행 - ‘23년 : 자격연수 대면교육 확대, 결격사유조회시스템 도입 - ‘24년 : 정부24 청소년상담사 자격증 발급서비스 도입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상담연수부장 김미정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한국산업인력공단 전문자격국 |
||||||||||||||||||
추진실적 |
○ ’24년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실적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총 39회 실시
- 청소년상담사 자격연수 수료자 현황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8 | 담당부서 작성자 |
상담역량개발본부 청소년상담사연수부장 (김미정/051-662-3080/shlh30@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기본법」제24조의2에 따라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시행 - 청소년 위기문제 변화와 심화로 청소년상담사의 청소년 문제에 대한 대응 능력 향상 - 청소년상담사의 새로운 분야에 대한 전문성 확대 ○ 추진기간 : ’07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180백만원 ○ 주요내용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과정 기획·개발 및 운영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및 운영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정보시스템 관리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의무대상 기관 및 대상자 관리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과정 효과성 평가 실시 - 사회적 약자 대상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교육비 면제 서비스 운영 ○ 추진경과 - ’07년 : 제1회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시행 - ’13년 : 보수교육 의무화 시행(청소년기본법) - ’15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효과성 평가도구 개발 연구 시행 - ’16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효과성 평가도구 타당화 연구 시행, 사회적 약자 대상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교육비 면제서비스 시행 - ’17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유용성 평가 전수 실시 - ‘18년 : 스마트 이러닝 시스템 개발 - ’19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유용성 평가도구 개선 연구 시행 - ‘20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전문가 과정 개설 - ‘21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서포터즈 창단 - ‘22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소진방지 워크숍 실시 - ’23년 : 청소년상담사 패널조사 모형개발 연구 - ’24년 :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대상기관 확대 고시 개정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상담연수부장 김미정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24년 청소년상담사 보수교육 실적 - 집합교육, 실시간 온라인, 혼합교육, 이러닝 교육 등 총 109개 과정 ⇒ 수료인원 : 6,866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09 | 담당부서 작성자 |
통합지원본부 상담복지센터지원부장 (김세진/051-662-3120/soitis@kyci.or.kr) |
||||||||||||||||
---|---|---|---|---|---|---|---|---|---|---|---|---|---|---|---|---|---|---|---|
사 업 명 | 상담복지인력 역량강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무능력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직급별 직무연수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 자살·자해 등 고위기 문제 개입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 운영 ○ 추진기간 : ’06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108백만원 ○ 주요내용 - NCS(청소년상담복지) 기반 직급별 직무연수 운영 - 고위기 청소년 상담 역량강화 교육 운영 - 이러닝 및 연수시스템 운영관리 ○ 추진경과 - ’06년 :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직원 대상 직무연수 최초 실시 - ‘16년 : NCS 기반의 직무능력 평가실시, 경찰청, 쉼터 등 청소년 상담복지 유관기관 종사자 대상 이러닝 연수 확대 운영 - ‘19년 : 팀장 소진방지 직무연수, 대국민 이러닝 교육 콘텐츠 개발 - ’20년 : 직무연수 운영매뉴얼 및 직무능력 관리시스템 개발 - ‘21년 : 직무능력관리시스템 ’UP(業)투게더‘ 신규도입 및 개인별 역량수준에 따른 직무연수 수강 지원 - ‘22년 : 직급별 직무능력 수준 지표 개발로 균질의 상담복지 인력양성체계 마련 - ’23년 : 청소년 고위기 문제 대응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운영 - ’24년 : 직무능력 관리시스템 개편 및 직무능력 수준별 상담복지인력 양성 체계 확대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상담복지센터지원부장 김세진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NCS기반 직급별 직무연수 운영 : 1,129명 이수 ○ 고위기 사례대응 역량강화 및 고위기 문제유형별 특성화교육연수 운영 : 3,196명 이수 ○ 이러닝 연수 운영 : 31,091명 이수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10 | 담당부서 작성자 |
통합지원본부 청소년폭력예방부 (김래선/051-662-3090/iandq@kyci.or.kr) |
||||||||||||||||
---|---|---|---|---|---|---|---|---|---|---|---|---|---|---|---|---|---|---|---|
사 업 명 | 학교폭력 예방 또래상담 사업 활성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94년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12년 범정부「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의 시행으로 여성가족부․교육부 협업 추진 - ’20년 제4차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20∼’24) - 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 지도교사 양성을 통한 건전한 학교 문화 조성 ○ 추진기간 : ’12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274백만원 ○ 주요내용 - 또래상담 지도교사 양성 - 또래상담자 양성 및 활동지원 -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관련 전문지도자 양성 - 사업 운영 기관(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 컨설팅 - 또래상담 우수사례 발굴 및 시상 ○ 추진경과 - ’94년 :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3종 개발 - ’97년 : 또래상담자 훈련 프로그램 2종 개발 - ’99년 : 또래상담 운영절차, 방법 및 내용에 대한 지침 마련 - ’00년 : 초·중·고 학교급별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 - ’12년 : 학교폭력근절 대책의 일환으로 교육부, 여성가족부 공동으로 또래상담 사업 추진, 전국 초‧중‧고등학교 대상 확대 운영 - ’13년 : 초‧중‧고 또래상담 중점학교 운영을 통한 또래상담 운영학교 지침 개발, 또래상담 심화프로그램 개발 - ’14년 : 해외교포 대상 솔리언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15년 : 또래상담사업 고유사업 예산(일반회계) 확보를 통한 안정적 사업 확대 기반 마련 - ’16년 : 탈북청소년 대상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17년 : 또래상담 지도교사 직무연수 제도화 - ’18년 : 후기청소년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19년 : 초등학교 중심 또래상담 프로그램 보급 확대 - ’20년 : 사이버폭력 예방 또래상담 프로그램 개발 - ’21년 : 온라인 또래상담 플랫폼 고도화 및 시범운영 - ’22년 : 청소년 폭력예방 활동을 위한 또래상담 연합회 지역특화 사업 실시 - ’23년 : 초등용 솔리언또래상담 지침 개정 및 의사소통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티키타카) 개발 - ’24년 : 또래상담 시스템 통합 운영 * 또래상담DB(교사용), 스마트수첩(또래상담자용), 또래상담 누리집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래선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학교밖청소년지원과(정책총괄) ○ 교육부 학교폭력대책과(사업지원) ○ 전국 청소년상담복지센터(또래상담자 및 또래상담 지도교사 양성) |
||||||||||||||||||
추진실적 |
○ 또래상담 지도자(교사) : 3,022명 ○ 또래상담자 수 : 241,769명 ○ 또래상담 운영학교 수 : 5,041개교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11 | 담당부서 작성자 |
통합지원본부 청소년폭력예방부 (김래선/051-662-3090/iandq@kyci.or.kr) |
||||||||||||||||
---|---|---|---|---|---|---|---|---|---|---|---|---|---|---|---|---|---|---|---|
사 업 명 | 청소년 희망센터 운영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청소년 권리 전담 기구 설치에 대한 국제사회의 권고와 청소년 권리인식 개선 및 권리보장을 위한 시대적 요구 반영 - 청소년 기본법 제8조의2에 의거하여 아동권리에 대한 협약 홍보 및 청소년 권리에 대한 교육 이행 ○ 추진기간 : ’11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비예산 ○ 주요내용 - 청소년 유관기관 종사자 대상 청소년 권리교육 - 학교 밖‧가정 밖‧다문화 청소년 및 일반 청소년 대상 권리교육 - 청소년 권리교육 이러닝 콘텐츠 제공(지도자 9종, 청소년 4종) - 권리교육 강사매칭시스템 ○ 추진경과 - ’11년 : 청소년희망센터 개소 - ’12~16년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위탁 결정 - ’17~24년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고유사업 전환 및 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청소년폭력예방부장 김래선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청소년 권리교육 프로그램 2종 개정 및 보급 ○ 청소년 권리교육 신규 강사 양성 165명 ○ 청소년 권리교육 보수교육 운영 150명 ○ 청소년 권리교육 수혜자(지도자 및 청소년) 32,449명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12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기획조정부 (김규훈/051-662-3020/shew0304@kyci.or.kr) |
||||||||||||||||
---|---|---|---|---|---|---|---|---|---|---|---|---|---|---|---|---|---|---|---|
사 업 명 | 고객만족체계 강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공공기관으로서의 수준 높은 고객만족과 책임경영 실현을 위한 선도적 경영체계 구축 - 고객접점 서비스 고도화 및 현장중심의 고객만족 경영을 통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 추진기간 : '06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137백만원 ○ 주요내용 - 고객만족서비스 강화를 위한 전략적 고객관리 - 지속적인 고객서비스 품질 모니터링 및 개선 - 고객 중심 경영관리 고도화 위한 고객만족도 조사 시행 -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다양한 사회공헌활동 추진 ○ 추진경과 - ’06년 : 기획재정부 주관 고객만족도(PCSI) 조사 실시 - ’08년 : 청소년고객자문단 운영 및 사회공헌활동 실시 - ’09년 : 고객만족 제고를 위한 VOC 통합관리체계 구축 - ’12년 : 고객만족도(PCSI) 평가등급 ‘양호’ 진입 - ’15년 : 고객만족 개선과제 이행 강화, 지방 이전에 따른 부산지역 내 신규 사회공헌활동 발굴 추진 - ‘16년 : 고객만족도 조사 대응 강화, 본원 전문성 활용한 재능기부 사회공헌 활성화 - ‘17년 : 고객만족도 ’A등급‘ 획득, 사회공헌 홍보 활성화 - ’18년 : 청소년고객자문단 확대 운영, 사회공헌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19년 : 고객만족도 ‘양호’수준 획득, 청소년자문단 활성화 - ‘20년 : 고객중심 사업개선을 위한 고객자문활동 강화 - ‘21년 : 고객만족도 지속 향상을 위한 청소년자문단 운영 강화 - ‘22년 : 고객만족경영 13대 개선과제 발굴 및 이행 모니터링 - ‘23년 :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민·관 협업 강화 - ‘24년 : CS혁신단 운영을 통한 고객만족도 관리 강화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기획조정부 김규훈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기획재정부 공공혁신기획과(고객만족도 조사 총괄) ○ 한국조세재정연구원(고객만족도 조사 설계) ○ 한국표준협회(고객만족도 조사 시행·분석) |
||||||||||||||||||
추진실적 |
○ 기획재정부 주관 고객만족도 조사 `23년 86점 획득 ○ 고객만족 CS워크숍 운영(9월) - CS담당자 대상 고객만족도 개선과제 모니터링 및 고객관리 역량 향상을 위한 전문교육 실시 ○ 내․외부 고객의견 수렴 강화 추진 - (내부) 혁신제안제도 운영 : 기관운영 관련 직원 혁신제안 34건 접수 및 8건 채택 - (외부) 고객의소리(VOC) 운영 및 관리 : VOC 통합관리시스템에 접수된 고객문의에 대해 48시간 이내 답변 제공 (`24년 515건 처리, 평균답변 16.2시간) ○ 사회공헌활동 추진 - 전문역량 활용 교육프로그램 기부, 지역 연계 봉사활동, 나눔 기부 활동 등 추진(21회)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13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기획조정부 (김규훈/051-662-3020/shew0304@kyci.or.kr) |
||||||||||||||||
---|---|---|---|---|---|---|---|---|---|---|---|---|---|---|---|---|---|---|---|
사 업 명 | 대외위상 강화를 위한 기관홍보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최고의 청소년 상담복지 전문기관으로서의 대외 위상 강화 - 청소년의 행복한 삶을 위해 본원에서 제공하는 사업 및 프로그램을 널리 알림으로써 국민에게 신뢰받은 기관 이미지 확립 - 청소년의 올바른 인격형성과 조화로운 성장이라는 기관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청소년 상담복지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 홍보 ○ 추진기간 : ’93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45백만원 ○ 주요내용 - 웹진 기획 및 발행(연12회) - 미디어리스트 구축, 보도실적 관리, 기획홍보 아이템 발굴, 언론사 취재지원, 기자간담회 개최 등 언론홍보 - 브로슈어, 동영상 등 기관 홍보물 기획 및 제작 -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참가 및 홍보부스 운영 - 페이스북 등 SNS 채널 관리 및 운영 - 내부직원 홍보교육, 보도자료 작성지원 등 ○ 추진경과 - ’93년 : 소식지 ‘청소년상담소식(계간)’ 발간 - ’03년 : 한국청소년상담원 10년사 발간 - ’06년 : 소식지 ‘청소년상담소식(월간)’웹진 전환, 계간지 ‘유스피아’ 발간 - ’08년 : 한국청소년상담원 15년사 발간 - ’09년 : ‘유스피아’ 상·하반기 발행, 홍보 아웃소싱 - ’11년 : 기관인지도 조사, 페이스북 개설 및 운영 - ’12년 : 기관명칭 변경, CI 및 캐릭터 개발 - ’13년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년사 발간 - ’14년 : 홍보대사 위촉 - ’15년 : 기관 홍보 브로슈어·동영상 제작, 기관 홈페이지리뉴얼 - ’16년 :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정부3.0 국민체험마당 참여, 기관 인지도 조사 실시 - ’19년 : 홍보영상 제작, 리플릿 제작 - ’20년 : 유튜브 라이브방송 실시, 온라인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실시 - ’21년 : 대외위상 강화를 위한 온라인 광고 실시 - ’22년 : 홍보 프로세스 체계화 전략 수립 및 추진 - ’23년 : 기관 30년사 발간 및 홍보영상 리뉴얼 - ’24년 : 부산 이전 10주년 기념, 청소년상담복지 포럼 개최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기획조정부장 김규훈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웹진 기획 및 발행 - 12회 발행(1~12월) ○ 보도실적 관리, 미디어리스트 구축, 보도자료 작성 및 배포, 기사게재 모니터링 등 언론홍보 지원(1~12월) ○ 청소년 현안 관련 수시 언론보도 모니터링 제공(9~12월) ○ 홈페이지, 페이스북 등 SNS채널관리 및 운영(1~12월) ○ 청소년상담1388 통합홍보 사업 운영(1~12월) ○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뉴미디어 홍보 실시(1~12월) ○ 홍보담당자 전략회의 4회(3, 6, 8, 12월) 실시 ○ 청소년의 달 특집홍보(언론홍보 및 온라인 캠페인) 실시(5월) ○ 제20회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참가(5월) ○ 여성가족부 출입기자 간담회 개최 및 운영(2, 11월)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14 | 담당부서 작성자 |
경영기획본부 기획조정부장 (김규훈/051-662-3020/khkim@kyci.or.kr) 경영기획본부 창의인재부장 (고영수/051-662-3050/ysko@kyci.or.kr) 경영기획본부 경영관리부장 (전상현/051-662-3030/shchun@kyci.or.kr) |
||||||||||||||||||||
---|---|---|---|---|---|---|---|---|---|---|---|---|---|---|---|---|---|---|---|---|---|---|---|
사 업 명 | 경영 정상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공공기관 개혁의 토대인 방만경영 개선 지속 추진 요구 - 성과중심의 경영, 효율적 인력 운영을 통한 보다 고품질의 공공 서비스 제공 요구 ○ 추진기간 : ’14년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비예산 사업 ○ 주요내용 - 교육비, 의료비 등 방만경영 정상화 체크리스트 대상항목 점검ㆍ개선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지속가능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 임금피크제도 및 NCS 기반의 채용제도 운영 -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및 개방형 계약직제 운영 등 ○ 추진경과 - ’14년 ㆍ복리후생제도 7개 개선과제 발굴ㆍ개선 및 1인당 복리후생비 27천원 절감(3.9%) - ’15년 ㆍ복리후생제도 6개 개선과제 발굴ㆍ개선 및 가이드라인을 준수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ㆍ임금피크제도 및 NCS 기반의 채용제도 설계ㆍ도입 - ‘16년 ㆍ정부가이드라인을 준수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ㆍ성과연봉제 확대 및 NCS 기반의 채용제도 실시 - ’17년 ㆍ정부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지속가능 복리후생제도 운영 ㆍ성과연봉제 후속조치 및 NCS 기반의 채용 실시 - ’18년 ㆍ정부방침에 따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 ’19년 ㆍ다면평가 등 인사혁신안 설계 - ’20년 ㆍ내ㆍ외부 환경분석을 통해 직종 및 직급체계 개편 - ‘21년 ㆍNCS기반의 채용제도 강화 및 예비합격자제도 신규 도입 - ‘22년 ㆍ인적자원개발 우수기관(Best-HRD) 인증 - ‘23년 ㆍ개원기념일 유급휴무 폐지, 정상근무 전환(복무규정 개정) - ‘24년 ㆍ직무중심의 기관운영을 위한 직무관리체계 강화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기획조정부장 김규훈, 경영관리부장 전상현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경영기획본부장 양미진, 기획조정부장 김규훈, 창의인재부장 고영수, 경영관리부장 전상현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청소년자립지원과 | ||||||||||||||||||||||
추진실적 |
○ 정부의 공공기관 혁신가이드라인을 준수한 직무․성과 중심의 보수체계를 정비하고, 맞춤형복지, 건강검진, 학자금 등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복리후생제도 운영 ○ NCS기반의 블라인드 채용, 고용감찰관제 등 공정채용제도 강화를 통해 공정채용문화 정착 및 우수인재 채용 지속 ○ 인력효율화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제고 노력 - 정부지침을 준수한 합리적 인사관리체계 운영(평가,배치,승진 등) - 청년인턴제, 일경험프로그램 등 정부 일자리 사업 적극 추진 ○ 순환보직제, 전문직위제 등으로 맞춤형 인재육성 - 조직 기능 및 부서업무 분석을 통한 조직․인력 효율화 - 경상경비 및 업무추진비 절감, 개원기념일 정상근무 전환 - 직무분류 개선 및 직무 재평가 등 직무관리체계 개선을 통한 직무급제 확대 기반 마련 |
사업실명제 등록번호 |
2025-15 | 담당부서 작성자 |
감사실장 (구자현/051-662-3160/jh1423@kyci.or.kr) |
||||||||||||
---|---|---|---|---|---|---|---|---|---|---|---|---|---|---|---|
사 업 명 | 반부패ㆍ청렴 및 윤리경영 강화 | ||||||||||||||
사업개요 및 추진경과 |
○ 추진배경 및 목적 - 반부패 공정한 직무수행에 대한 국민적 요구 및 공공부문 청렴윤리경영 강조 기조에 따라 적극적 대응 필요 - 청렴정책 추진을 통한 부패리스크 예방 및 내부통제 기능 강화를 통해 공공기관의 윤리경영 책무 이행 필요 ○ 추진기간 : ‘10 ~ ’25년 (계속) ○ ’25년 예산 : 19백만원 ○ 주요내용 - 청렴·윤리경영 인프라 강화 - 청렴·윤리문화 내재화 - 내부견제 체계 운영 ○ 추진경과 - ’10년 : 국민권익위 청렴도 측정 신규 대상기관 선정 및 반부패·청렴시책 추진, 최초 청렴도 평가결과 ‘우수’ 달성 - ’18년 : 감사실 신설, 감사 및 반부패 청렴활동 체계적 수행 - ’19년 : 갑질 근절 지침 및 인권경영 지침 제정 - ’23~’24년 : 반부패・청렴시책 이행 강화를 위한 윤리경영위원회 신설 및 지속 운영 |
||||||||||||||
사업수행자 (관련자 및 업무분담 내용) |
○ 최초 입안자 및 최종 결재자 - 최초 입안자 : 감사실장 구자현 - 최종 결재자 : 이사장 윤효식 ○ 사업 관련자
|
||||||||||||||
다른기관 또는 민간인 관련자 |
○ 여성가족부 법무감사담당관 ○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조사평가과 |
||||||||||||||
추진실적 |
○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종합청렴도 평가 전년比 1등급 상승 ○ 임직원 대상 청렴활동 운영으로 내부청렴도 전년比 12.9점 상승 ○ 임직원 대상 생애주기별 맞춤형 청렴교육 운영(333명 수료) ○ 경영 현안에 맞춘 자체감사(4회) 및 공직기강 점검(6회) 실시 ○ 적극행정 실현 및 책임경영이행으로 국민 신뢰 제고 ○ 전직원 인권교육 및 자율진단을 통한 지속적 인권경영 실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