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원간행물(PDF) 검색
서명 |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스마트폰 의존, 우울 사이의 종단적 인과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의 적용 |
---|---|
저자 | 장혜원, 고영건 |
출판사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출판년도 | 2025 |
총서명 | 청소년상담연구 33권 1호 |
초록(부가정보)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스마트폰 의존,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시간의 흐름 속에서 분석하여 변인들의 심층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3차년도(2020, 중3)부터 6차년도(2023, 고3)까지의 데이터(N=1,963)를 활용하였으며, SPSS 30.0과 AMOS 30.0을 사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ARCL)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변인은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기회귀 효과를 지니며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양상을 나타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사회적 위축은 이후 시점의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후 시점의 스마트폰 의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전 시점의 스마트폰 의존은 이후 시점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사회적 위축과 스마트폰 의존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의존이 다음 시점의 우울을 예측하는 종단적 관계 속에서 사회적 위축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고립과 은둔 현상을 예측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함의와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도서기호 | 청소년상담연구 33권 1호 |
원문다운로드 | 원문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