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원간행물(PDF) 검색
서명 | 내담자 문제 이해와 작업동맹을 적용한 생성형 AI 기반 청소년용 챗봇 초기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성과 |
---|---|
저자 | 김지민, 장여옥 |
출판사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출판년도 | 2025 |
총서명 | 청소년상담연구 33권 1호 |
초록(부가정보) |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청소년용 챗봇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내담자와 상담자 간 핵심 상호작용인 작업동맹의 형성에 중점을 두었으며, 접수면접 기능을 구현하고자 내담자의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필요한 정보를 포괄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 성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청소년용 챗봇 상담 프로그램을 활용한 후 상담회기평가가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14∼19세 청소년 108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담회기평가와 작업동맹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챗봇 상담을 사용한 청소년의 상담회기평가는 작업동맹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상담회기평가의 하위요인인 순조로움과 긍정정서는 작업동맹의 하위요인인 감정관계와 치료협력에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담회기평가는 작업동맹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상담회기평가의 하위요인인 순조로움과 긍정정서는 작업동맹의 하위요인인 감정관계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각성은 감정관계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상담회기평가는 치료협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담회기평가의 하위요인인 긍정정서와 깊이는 작업동맹의 하위요인인 치료협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을 위한 AI 챗봇 상담의 개발과 활용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가 있다. |
도서기호 | 청소년상담연구 33권 1호 |
원문다운로드 | 원문다운로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