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전자정부 로고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사이트입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본원간행물(PDF) 검색

본원간행물(PDF) 상세정보

본원간행물(PDF) 상세정보로 서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도, 총서명, 초록(부가정보), 도서기호, 원문다운로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서명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저자 정창순, 이동형
출판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출판년도 2019
총서명 청소년상담연구 27권 2호
초록(부가정보)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외
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관계망의 다양한 요소들이 매개하는지, 하나의 모형 내에서 여러 변인의 매개
효과를 동시에 추정하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4학년 대학
생 412명에게 거부민감성, 사회적 관계망, 외로움을 측정하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외
로움은 정서적 경험에 국한하여 LCQ라는 새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구조적 차
원(접촉하는 사람 수와 빈도, 도움을 주거나 받는 빈도 등을 합산한 양적 지표로 단일 변인)과 기능적 차원
(사회적 지지, 사회적 갈등, 친구관계의 질의 세 변인 포함)으로 구분하여 포괄적으로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간에, 그리고 사회적 관계망의 모든 요소와 외로움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거부민감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을 측정하는 세 변인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그러나 거부
민감성과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차원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사회적 관계망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거부민감성과 외로움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 중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
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사회적 갈등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친구관계의 질
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과
정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기능적 차원이 매개역할을 하지만, 이자관계에 기초한 친구관계의 질 보다는 사회적
갈등 같은 집단수준의 대인관계 과정 변인이 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
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이 논의되었다.
도서기호 2019-138-7
원문다운로드 원문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