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전자정부 로고이 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사이트입니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언론에 비친 KYCI
HOME알림마당 언론에 비친 KYCI

언론에 비친 KYCI

No.6213

코로나 스트레스.."청소년 화·분노 감정, 어른의 두 배"

작성자 관리자 · 게시일 2020-05-07 11:39:36 · 조회 3816

코로나 스트레스.."청소년 화·분노 감정, 어른의 두 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청소년이 느끼는 화·분노 등의 감정이 어른보다 두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보다 감정 발달이 미숙하고 외부자극에 취약한 청소년의 심리 방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성인기 불안·우울장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조기 개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온다.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호 청소년상담 이슈페이퍼를 6일 공개했다. 개발원은 지난달 10~17일 9~24세 청소년 자녀를 둔 보호자 198명과 청소년 92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청소년과 보호자의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청소년(59.8%)과 보호자(82.8%) 모두 불안과 걱정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으로 청소년은 짜증과 화·분노를, 보호자는 우울과 짜증을 높게 경험하고 있었다. 

청소년과 부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 자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과 부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 자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개발원은 “청소년의 경우 새로운 위험에 대한 ‘불안·걱정’과 외부로 표출되는 경향이 있는 ‘짜증과 분노’, ‘우울’, ‘두려움’ 등의 감정이 다양하게 나타났다”며 “보호자는 감염병으로 인한 ‘불안·걱정’이 청소년보다 약 1.5배 높았고, ‘우울’ 같은 내부로 향하는 부정적 감정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화·분노의 감정은 청소년(28.1%)이 보호자(14.7%)의 두 배에 달했다. 개발원은 “청소년은 성인보다 감정 발달이 미숙하기 때문에 위기상황의 불편한 감정을 내부보다 외부로 표출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17~19세의 청소년은 다른 연령대보다 ‘불안·걱정’, ‘두려움’의 감정이 높게 나타났다. 개발원은 “학교 폐쇄와 온라인 개학 등 일상생활의 변화가 학업이나 진로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에 민감한 고등학생의 심리적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청소년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관계단절’이 가장 힘들다고 호소했다. 10명 중 7명(72%)이 친구들을 만나지 못하는 것을 힘든 점으로 꼽았고, 온라인 개학 실시(64.6%), 생활의 리듬이 깨짐(64.6%), 외출 자제로 집에서만 지내야 하는 갑갑함(62.2%) 등의 순으로 힘들다고 응답했다. 과반수 넘는 청소년이 학업·진로의 불투명성이나 감염 위험성에 대해서도 힘들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힘든 점으로 '친구들을 만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꼽았다. 자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청소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힘든 점으로 '친구들을 만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꼽았다. 자료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보호자는 자녀의 생활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의 미디어 사용 증가’(77.5%)와 ‘자녀의 불규칙한 생활 습관’(74.2%)이 가장 힘들다고 했다. 절반 이상이 자녀를 돌보는 부담이 가중되고, 온라인 개학으로 인한 자녀의 학습 부진을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이런 힘든 감정을 대처하는 것엔 청소년과 보호자 모두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이나 친구들과 나눔으로써 스트레스에 대처한다는 응답은 청소년 37.8%, 보호자 42.9%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청소년 10명 중 3명(26.8%)은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할지 잘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전문상담 서비스를 이용해 코로나에 대처한다는 응답은 청소년(9.7%)과 보호자(5.1%) 모두 소수에 불과했다.
 


청소년과 보호자는 가장 필요한 것으로 ‘심리지원 서비스’를 꼽았다. 대다수 청소년은 ‘상담 혹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누군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 심리적 건강뿐 아니라 가족과의 긍정적 관계 유지, 학습 및 진로 상담, 자신만의 생활 및 시간 관리 관련한 상담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보호자는 자녀 관련 상담 또는 교육(42%)과 생활지원 관련(48.9%) 도움을 받고 싶다는 사람이 많았다.
 
개발원은 “성장기 청소년의 우울·불안감은 낮은 자존감과 자아 정체성의 혼란을 낳을 뿐만 아니라, 심각할 경우 성인기까지 불안·우울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개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소년과 보호자의 부정적 감정이 장기화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가 자녀의 부정적 감정에 공감하고 가족 간 긍정적 상호작용을 도와야 한다고 제언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뉴스출처: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769859

 

 

목록
비밀번호 확인

비밀번호